먹는 약이 종종 있다 보니 약을 정리해 둘 필요가 있다고 느낄 때가 있습니다. 정형외과와 안과에서 약을 처방받아왔는데 회사만 다르고 효능이 비슷한 약이 있어서 비교해 보았습니다. 보통 약 처방 시 위장 보호제라고 약국에서 설명해주는 초록색 타원형 알약이 있는데요,
조제약 복약안내서에는 '궤양치료제'라고 나와 있습니다. 처음에는 내과 약 처방 시 위궤양약인가 했더니 대부분 약 처방 시 위염 등으로 인한 위궤양울 예방하기 위한 약입니다.
위장을 보호해준다는 두 알약은 첨가제만 조금 다를 뿐 설명은 동일하며 단가도 다릅니다. 다만 약의 사이즈만 조금 차이가 있네요. 나에게 어떤 약이 처방되어 있는지 확인하는 용도로만 검색하시고 자세한 것은 의사 및 약사와의 상담이 필요합니다.
유파딘정 124원 |
아미스정 124원 |
![]() |
![]() |
1) 국내에서 급·만성 위염에 대해 보고된 발현부위별 이상반응
소화기계
정신신경계
피부
발진(0.26 %), 가려움(0.26 %)이 나타났다.
간 및 담도계
2) 국내에서 비스테로이드소염진통제(NSAID) 투여로 인한 위염 예방에 대한 제3상 임상시험에 참여한 266명을 대상으로 보고된 발현부위별 이상반응은 다음과 같다.
참고로 동 임상시험은 비스테로이드 소염진통제와 이 약을 동시에 투여하며 진행되었으므로 다음의 이상반응이 비스테로이드 소염진통제에 의한 것인지 이 약에 의한 것인지 확실하지 않으며, 또한, 이상반응이란 임상시험용의약품과 반드시 인과관계가 있는 것은 아니다.
(1) 심혈관계
(2) 소화기계
(3) 간 및 담도계
(4) 대사 및 영양계
(5) 신경계
(6) 정신계
(7) 비뇨생식기계
(8) 호흡기계
(9) 기타
3. 일반적 주의
1) 이 약은 다음의 환자에 사용하는 것에 대해 연구되어 있지 않다.
2) 이 약은 2주 정도 투여하여도 증상의 개선이 없을 경우에는 투여를 중지하고 약사 또는 의사와 상의한다.
1) 이 약은 임신중의 투여에 대한 안전성이 확립되어 있지 않으므로 임부 또는 임신하고 있을 가능성이 있는 여성에는 치료상의 유익성이 위험성을 상회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만 투여한다.
2) 이 약이 모유로 이행되는 지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없으므로 수유부의 경우 치료상의 유익성이 위험성을 상회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만 투여한다.
6. 임상검사치의 영향
1) 이 약을 1일 투여용량 180 mg으로 2주간 투여하였을 때 AST 값이 유의하게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나 대부분 정상 범위내에 있었고, 때때로 ALT 값이 비정상적으로 상승하는 경우와 드물게 LDH 값이 비정상적으로 상승하는 경우가 보고되었다.
2) 이 약을 일일 투여용량 360 mg으로 2주간 투여하였을 때 적혈구, 헤모글로빈, 호중구, 총 단백질, ALP, AST 값이 유의하게 감소하였고, 림프구는 유의하게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나 대부분 정상 범위 내에 있었다.
3) 국내에서 비스테로이드소염진통제에 의한 위염 예방에 대한 제3상 임상시험에서 이 약을 일일 투여용량 180 mg으로 4주간 투여하였을 때 헤모글로빈, 호중구 값이 유의하게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고, ALT, 알부민, LDH 값은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나, 정상범위로 회복되었다.
7. 보관 및 취급상의 주의사항
1) 소아의 손이 닿지 않는 곳에 보관한다.
2) 직사광선을 피하고 되도록 습기가 적은 서늘한 곳에 밀전하여 보관한다.
3) 다른용기에 바꾸어 넣는 것은 사고원인이 되거나 품질유지면에서 바람직하지 않으므로 이를 주의하도록 한다.
- 발진, 발적, 가려움증 등의 증상이 나타날 경우 전문가와 상의하세요.
- 간질환 환자나 신장질환 환자의 경우 전문가에게 미리 알리세요.
- 혈전성 질환 환자나 그 병력이 있는 경우 전문가에게 미리 알리세요.
- 과량으로 투여하지 않도록 주의하세요.
- 가능한 습기가 적고 서늘한 곳에 보관하세요.
[서울삼성병원 채혈실 통합] CT촬영은 예약 1시간 전부터 등록 (0) | 2024.03.19 |
---|---|
[진해거담제, 감기증상] 시네츄라 시럽, 타가메트정, 에이목스캡슐 (0) | 2024.02.22 |
[알레린액 - 레보세티리진염산염] 비염, 두드러기, 피부염, 가려움 치료제 (0) | 2024.01.30 |
[어린이 장염, 체했을 때] 메디락에스산, 후로스판액, 하미돈엠정 (0) | 2024.01.26 |
[과호흡 증후군] 과호흡의 증상과 대처 방법 (0) | 2023.05.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