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한자공부 네번째 조삼모사, 두문불출, 막을 두

아이와 함께

by 슬커생 2025. 2. 8. 12:22

본문

반응형

초등학교 고학년을 위한 사자성어

1. 두문불출 (杜門不出)

• 杜(두): 막을 두
• 門(문): 문 문
• 不(불): 아닐 불
• 出(출): 나갈 출

의미: 문을 닫고 나가지 않는다는 뜻으로, 집에만 틀어박혀 외출하지 않는다는 의미예요.

사용 예: 그는 시험 준비를 위해 두문불출하며 공부했어.



2. 조삼모사 (朝三暮四)

• 朝(조): 아침 조
• 三(삼): 셋 삼
• 暮(모): 저물 모
• 四(사): 넷 사

의미: 아침에 세 개, 저녁에 네 개라는 뜻으로, 눈앞의 이익만 따지다가 결국에는 같은 결과가 되는 상황을 의미해요.

사용 예: 조삼모사처럼 보이지만 결국 다 똑같은 조건이야.



3. 천진난만 (天眞爛漫)

• 天(천): 하늘 천
• 眞(진): 참 진
• 爛(난): 빛날 난
• 漫(만): 흩어질 만


의미: 하늘처럼 순수하고 꾸밈이 없다는 뜻으로, 어린아이처럼 해맑고 솔직한 모습을 의미해요.

사용 예: 동생은 천진난만한 표정으로 나를 바라보았어.



4. 유비무환 (有備無患)

• 有(유): 있을 유
• 備(비): 갖출 비
• 無(무): 없을 무
• 患(환): 근심 환


의미: 미리 준비가 되어 있으면 걱정할 것이 없다는 뜻이에요.

사용 예: 시험 전에는 미리 공부해야 해. 유비무환이야!


5. 타산지석 (他山之石)

• 他(타): 다른 타
• 山(산): 산 산
• 之(지): ~의 지
• 石(석): 돌 석


의미: 다른 산의 돌도 나의 연마에 도움이 된다는 뜻으로, 다른 사람의 실수나 경험에서 교훈을 얻을 수 있다는 의미예요.

사용 예: 친구의 실수를 보고 나도 조심해야겠다고 생각했어. 타산지석이야.



중학교 학생을 위한 사자성어

1. 부화뇌동 (附和雷同)

• 附(부): 붙을 부

• 和(화): 화할 화
• 雷(뇌): 우레 뇌
• 同(동): 같을 동


의미: 뚜렷한 주관 없이 남의 의견을 따라간다는 의미예요.

사용 예: 자신의 생각 없이 남을 따라가는 부화뇌동의 태도는 좋지 않아.



2. 경거망동 (輕擧妄動)

• 輕(경): 가벼울 경
• 擧(거): 들 거
• 妄(망): 망령될 망
• 動(동): 움직일 동


의미: 가볍고 조심성 없이 행동한다는 뜻으로, 신중하지 못한 행동을 의미해요.

사용 예: 중요한 일일수록 경거망동하지 말고 신중해야 해.



3. 권선징악 (勸善懲惡)

• 勸(권): 권할 권
• 善(선): 착할 선
• 懲(징): 징계할 징
• 惡(악): 악할 악

의미: 착한 일을 권장하고 나쁜 일을 벌해야 한다는 의미예요.

사용 예: 이 동화는 권선징악의 교훈을 담고 있어.



4. 풍비박산 (風飛雹散)

• 風(풍): 바람 풍
• 飛(비): 날 비
• 雹(박): 우박 박
• 散(산): 흩어질 산



의미: 바람에 날리고 우박에 흩어진다는 뜻으로, 어떤 일이 완전히 망가져 흩어지는 것을 의미해요.

사용 예: 태풍이 지나간 후 집이 풍비박산이 났어.



5. 함흥차사 (咸興差使)

• 咸(함): 다 함
• 興(흥): 일어날 흥
• 差(차): 보낼 차
• 使(사): 하인 사

의미: 심부름을 갔다가 소식이 없다는 뜻으로, 어떤 사람이 가고 나서 소식이 없을 때 쓰는 말이에요.

사용 예: 친구에게 연락했는데 답이 없네. 완전 함흥차사야.



  • 두문불출, 조삼모사, 천진난만, 유비무환, 타산지석
  • 부화뇌동, 경거망동, 권선징악, 풍비박산, 함흥차사


5차시 사자성어도 지침에 맞게 정리했어요!
초등학생과 중학생이 쉽게 이해하고 사용할 수 있도록 의미와 예문을 추가했어요.
다음 차시도 기대해 주세요!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